4월, 2018의 게시물 표시

JAVA - Day6 - Method

이미지
#1 - Metho d_01 public class MethodTest_11 { //#1 //Method = 함수(기능) //입력, 기능, 출력 //사용자 정의 함수 /*출력 메서드 이름 (입력)  * {  *  * 기능  *  * }  */ //void main (String[] args) { //} //main 메서드 안에서 기능들의 순서를 정해준다. //프로그램 시작은  main에서부터 시작된다. // 접근지시 public // 출력 void // 함수 이름 main // 입력값  args라는 배열 //Method 1.사용자 정의 함수 // 2.자바 기본제공 함수 //main 안에다가 함수 정의하면 안되고, //main 기능 밖에다가 정의해야한다. //즉, main 중괄호 밖에다가 정의하면 됨. //메서드를 사용하는 이유 // 1.높은 재사용성 // 2.중복된 코드의 제거 // 3.프로그램의 구조화 // - 작업 단위로 나누어 구조를 단순화 시킨다. //#2 //입력값이 하나인 메서드. //출력하는 함수 만들기 public static void hiEveryOne(int age) { System.out.println("좋은 아침입니다!"); System.out.println("제 나이는 :"+age+"세 입니다."); } //#3 //입력값이 두개인 메서드. public static void hiAgeHeight(int age, double hei) { System.out.println("제 나이는 :"+age+"세 입니다."); System.out.println("저의 키는 "+hei+"cm 입니다."); } //#4 //입력값 o 출력값 x 인 함수. //vo...

JAVA - Day5 - Array,Random

이미지
#1 - Array import java.util.Scanner; public class Array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TODO Auto-generated method stub //#1 //배열 : 여러개의 변수를 하나로 묶었다. //선언 방법 //자료형 [] 배열이름 = new  자료형 [개수] //정수 3개를 저장하는 배열 int[] Arr = new int [3]; //new로 메모리 공간에 할당해준다. //int Arr [] 으로 선언해도 괜찮다. like CLang //배열의 큰 장점 :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. //초기화 //변수는 초기화를 안하면 쓰레기값이 들어가는데 //배열은 0이 들어간다. //즉 배열은 자동초기화가 된다. //여러개의 메모리 공간을 쉽고 빠르게 선언. Arr [0] = 10; Arr [1] = 20; Arr [2] = 30; System.out.println("#1"); System.out.println("Arr["+0+"] =" + Arr[0]); System.out.println("Arr["+1+"] =" + Arr[1]); System.out.println("Arr["+2+"] =" + Arr[2]); System.out.println(); //#2 //간략화해보자. System.out.println("#2"); for(int num2= 0; num2 <=2; num2++) System.out.println(Arr[num2]); ...

JAVA - Day4 - While, for

이미지
#1 - While문 public class While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TODO Auto-generated method stub //반복문 //while, do while /* while (조건식) { // 조건이 참일 동안 // 이 블럭을 반복한다. // 조건이 거짓이 되면 이 반복문 탈출. } */ // #1 : 1~10까지 출력을 해보자. int num = 0; while(num<10) { ++num; System.out.println("출력되는 숫자:"+num); } // #2 : 1~100까지의 합 int num2 = 0; int sum=0; while(num2<=100) { sum += num2; num2++; } System.out.println("총합 :"+sum); System.out.println(); // 직접 해보기 // #3  짝수의 합, 홀수의 합을 각각 출력하자. int num3 = 1; int sum2=0; int sum3=0; while(num3<=50) { sum2 += 2*num3; sum3 += 2*(num3-1)+1; num3++; } System.out.println("짝수의 총합 :"+sum2); System.out.println("홀수의 총합 :"+sum3); System.out.println(); // #3' int number = 0; int A = 0; //짝수의 합 int B = 0; //홀수의 합 while (n...